[열처리/도금] 전기 도금과 무전해 도금
1. 전기 도금 : 전기 분해의 원리로 도금하고자 하는 피도물을 음극으로 하고, 직규 전류를 가하여 물체의 표면을 다른 금속의 얇은 막을 전해석출하는 방법 (전기를 통하면 금속이온이 피도물의 표면에 달라붙는 원리)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거나 장식 및 기능 도금에 이용한다.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 제품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, 비금속의 경우 전착 시키고자 하는 물건의 표면을 처리해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해야함 전기도금에는 구리도금, 니켈도금, 크롬도금, 아연도금, 조석도금, 귀금속도금, 합금도금 등이 있다. 장식용은 1μm 이하, 방식용 공업용은 1~수십 μm 이상으로 핀홀이 발생할 수 있다. 단점은 도금 후 얼룩 발생이 발생될 수 있고, 독성이 강한 CN을 사용하는 경우 폐수처리가 어렵다. 2. 무전해 도..
[열처리, 도금] 경질 크롬도금이란? (전기 도금, 무전해 도금편)
경질 크롬(크로뮴) 도금 전기도금의 방법으로 두께가 5μ 이상 도금된 것이고, 그 경도가 높으며(Hv>700), 내마모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. 각종 roll, plastics 기타의 주형, 각종 접동(摺動) 부분, 각종 바이트류의 표면에 많이 사용된다. 도금액으로는 보통 묽은 크롬산 200g/ℓ, 황산 25g/ℓ의 것을 쓰고, 액온 50~55℃, 음극 전류밀도 50~55A/d㎡에서 도금한다. 양극으로는 Pb-Sb 합금(Sb 5~8%)이 좋다. - 밝은 크롬 광택을 가진 미려한 외관 - 낮은 마찰 저항 계수 - 고경도 - 우수한 내식성 - 낮은 선팽창 - 내마모성의 표면 - 제품 수명 연장 - 마모되거나 가공에 이상이 있는 제품의 복원 * 오일씰과 접촉되는 구동면에 열처리(HRC 50)를 하거나, 스텐같..